본문 바로가기
IT분야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현재 상황 - 유래,향후 전망등

by 나눔남 2023. 11. 19.
반응형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는 모습
커다란 거실에 있는 여러 전자제품들이 서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사람이 있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보여주는 모습

 

서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사물과 인터넷을 연결하여 상호작용하는 기술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져 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여러 방면에서 알아보겠습니다.

 

a1

 

1. 유래나 기원 또는 역사
사물인터넷 개념은 1999년 MIT의 오토이디어(Lab of Things) 프로젝트에서 최초로 등장했습니다. 이후 인터넷과 센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물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물인터넷이 현실화되었습니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의 탄생은 1999년에 비누, 샴푸, 칫솔 등 다양한 종류의 소비재를 제조 및 판매했던 P&G에서 브랜드 매니저로 근무하던 캐빈 애시턴(Kevin Ashton)이 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습니다.


2. 구성 및 분야
사물인터넷은 전구와 같은 일반 가전제품부터 웨어러블 기기, 의료 기기, 스마트 기기는 물론 스마트 시티까지 실제 객체 (사물)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사물인터넷은 통신, 센서, 데이터 처리 및 분석 등 다양한 기술 요소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물리적 객체 (사물) 내에 배치된 IoT 기기는 주로 2가지 범주인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다른 곳으로 전송) 또는 스위치 (사물에 명령 전송)로 나뉩니다. 주요 분야로는 스마트 시티, 스마트 홈, 스마트 제조, 스마트 헬스케어 등이 있으며, 이들 분야에서 사물인터넷 기술은 효율성 향상, 자동화, 생활 편의성 제공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3. 세부사항
사물인터넷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기기들이 있는 시스템을 뜻하며, 객체(사물)에서 컴퓨팅 기기를 통합할 때 사물인터넷이 구현됩니다.
사물인터넷은 다양한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 원격 제어,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사물간의 상호작용과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구현합니다.

4. 장단점
사물인터넷의 장점으로는 생활 편의성 제공, 효율성 향상, 자동화된 프로세스 등이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크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러나 단점으론 사물인터넷의 보안과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문제가 있으며, 기술의 복잡성과 구현 비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5. 사회적 영향
사물인터넷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새로운 기회와 혁신을 제공하여 사회적인 영향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에는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응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시티,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사물인터넷의 활용이 더욱 증가할 것입니다.

6. 향후 전망
사물인터넷은 점차 발전하는 배터리와 보안시스템, 보다 빠른 인터넷속도와 인공지능과 결합해 인간이 사용하는 전자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 입니다.

7. 개선을 위한 대응과 대처방법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활용에는 기술적인 개선과 함께 프라이버시와 보안에 대한 대응으로 법적인 규제와 기술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제조사는 제품의 보안 초기 설정을 조금 더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사물 인터넷 기기에 대한 주기적인 보안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한편, 유관 기관은 서비스에 대한 보안 인증 제도를 마련하고 침해 사고에 대한 대응체계를 강화해야 합니다. 기술적으로는 통신, 센서,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전과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연구와 개발이 중요합니다.

8. 활용방법
사물인터넷은 수동 작업을 최소화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물리적 기기들로 이루어진 모든 시스템을 말합니다. 모든 종류의 오브젝트에서 컴퓨팅 기기를 통합할 때 IoT가 실현됩니다. 사물인터넷 기술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에서는 가전제품과 보안 시스템을 연결하여 편리한 생활을 제공하고, 스마트 시티에서는 도시 인프라와 교통 시스템을 연동하여 효율적인 도시 운영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 헬스케어에서는 환자 모니터링과 의료 서비스 개선을 위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9. 2023년 현재 가장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는 학교, 교수, 기업
경제적 관점에서 2023년 현재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는 학교, 교수, 기업을 각각 3개씩 알려드리겠습니다.

전 세계:
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Stanford University): 스탠퍼드 대학교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세계적인 학교 중 하나입니다. 전기 및 컴퓨터 공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인터넷의 경제적 측면에 관련된 연구와 응용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세계적인 학교 중 하나입니다.
캠브리지 대학교 (University of Cambridge): 캠브리지 대학교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는 세계적인 학교 중 하나입니다.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는 캠퍼스에 배치된 사물 인터넷을 활용하여 온도, 습도, 물이 새는 수도꼭지와 소음 수준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교수:
마리오 도디로 (Mario Döller): 마리오 도디로 교수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는 교수로 알려져 있습니다.
클라우스 베띠겔 (Klaus Beetz): 클라우스 베띠겔 교수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를 수행하는 교수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누엘 알카노 (Manuel Alcano)

기업:
IBM: IBM은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와 개발을 수행하는 글로벌 IT 기업 중 하나입니다.
매킨지(McKinsey & Company)**는 사물인터넷 기술의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하였습니다.
섬 사러(NYS:IOT)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예상보다 호전된 분기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국내:
학교:
한국과학기술원 (KAIST): KAIST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대학 중 하나입니다.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는 대표적인 학교 중 하나입니다. 
POSTECH (포항공과대학교): POSTECH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기술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국내 대학 중 하나입니다.

교수:
이승호 교수는 (KAIST)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교수로 알려져 있습니다.
김상욱 교수는 (KAIST) 신소재공학과에서 포스트 인공지능 시대 핵심 신소재를 전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김성민 교수는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에서 천 개에서 수천만 개에 이르는 대규모 사물인터넷 동시 통신을 위한 밀리미터파 후방산란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최재영 교수는 (서울대학교)

기업:
삼성전자: 매터 (Matter) 표준기반 디바이스와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한 스마트홈 실증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물인터넷 설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LG전자: 경제적인 관점에서의 사물인터넷 기술과 스마트 홈 설루션을 개발하고 제공하며, 생활 가전제품과의 연동 등을 통해 사물인터넷의 활용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
현대자동차: 스마트 카와 자율 주행 등에 사물인터넷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KT: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 사물인터넷 설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정보들은 2023년 현재의 상황을 반영하며, 그 이후의 변동사항에 대해서는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분야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결론
사물인터넷 기술은 사물과 인터넷을 연결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과 효율성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실생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개선과 보안에 대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로서 논문과 학술 자료를 참고하여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현재 상황에 대해 학술적으로 정리하고, 장단점, 사회적 영향과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하는 방법과 2023년 현재 전 세계와 국내에서 경제적 관점에서 주목받는 학교, 교수, 기업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