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분야

인터넷 보안과 해킹의 역사, 현재 상황, 그리고 미래 전망

by 나눔남 2023. 12. 2.
반응형

인터넷 보안과 해킹을 연구중인 과학자
인터넷보안을 위해 연구중인 과학자

서론
인터넷 보안과 해킹은 디지털 시대의 주요 이슈로, 개인 정보의 보호와 사회적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인터넷 보안과 해킹의 역사, 현재 상황, 그리고 미래 전망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a1

 

1. 인터넷 보안과 해킹의 유래와 역사
해킹은 MIT 서클에서 1950년대 말 처음 사용했던 '해크 (hack)'에서 유래되었지만 1960년대부터 공식적으로 해킹이 유래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보안과 해킹의 역사는 인터넷 기술을 바탕으로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발전과 함께 발전해 왔습니다. 초기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이 주요 관심사였으며, 이후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네트워크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인터넷이 처음 등장한 1960년대에는 보안 개념이 부족하여, 해킹이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 해킹은 처음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취약점을 찾아내는 기술적인 도전으로 시작되었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증가하였습니다. 이후 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보안 기술도 함께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2. 인터넷 보안과 해킹의 구성 및 분야
인터넷 보안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보호하고, 해킹은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침입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을 파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인터넷 보안은 다양한 분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에는 네트워크 보안, 데이터 보안, 신원 및 접근 관리, 애플리케이션 보안, 엔드포인트 보안, 인프라 보안, 클라우드 보안 등이 포함됩니다.
네트워크 보안은 네트워크 상에서 정보의 안전한 전송과 네트워크 자원의 보호에 중점을 둡니다.
웹 보안은 웹 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탐지하고 방어하는 분야입니다.
데이터 보안은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과 정책을 다루며, 암호화와 데이터베이스 보안 등이 포함됩니다.

해킹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이에는 스미싱/피싱을 통한 악성 앱 및 악성코드 설치, 모바일 랜섬웨어, 크립토재킹, 크리덴셜 스터핑을 통한 계정 및 개인정보 탈취 등이 있습니다.

인터넷 보안과 해킹은 다음과 같은 분야로 구성됩니다.
보안 기술: 보안 기술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보호하는 기술입니다. 보안 기술에는 암호화, 인증, 방화벽 등이 있습니다.
해킹 기술: 해킹 기술은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침입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을 파괴하는 기술입니다. 해킹 기술에는 악성 코드, 스니핑, 디도스 공격 등이 있습니다.


3. 각 항목별 세부사항

① 보안 기술
암호화: 암호화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암호화 기술에는 AES, RSA 등이 있습니다.
인증: 인증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입니다. 인증 기술에는 ID/PW, OTP, 생체 인식 등이 있습니다.
방화벽: 방화벽은 인터넷을 통해 들어오는 침입을 차단하는 기술입니다. 방화벽 기술에는 IPS, IDS 등이 있습니다.
② 해킹 기술
악성 코드: 악성 코드는 시스템을 감염시켜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을 파괴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악성 코드에는 바이러스, 웜, 랜섬웨어 등이 있습니다.
스니핑: 스니핑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몰래 수집하는 기술입니다. 스니핑을 통해 사용자의 비밀번호나 개인정보를 탈취할 수 있습니다.
디도스 공격: 디도스 공격은 다수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공격입니다. 디도스 공격을 통해 시스템을 마비시켜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각 항목별 상세 내용

4. 각 분야별로 유용한 웹사이트

① 네트워크 보안 :
CISCO 네트워크 보안 : 네트워크 보안에 관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OWASP :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에 관한 정보와 취약점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② 웹 보안 :
SSL Labs : 웹 사이트의 SSL 인증서 및 보안 설정을 평가해 주는 사이트입니다.
HackerOne : 웹 사이트의 취약점을 보고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③ 데이터 보안 :
NIST :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보안 관련 표준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5. 인터넷 보안과 해킹의 장단점

① 장점
보안 기술을 통해 정보의 보호, 사이버 공격으로부터의 보호, 개인 및 기업의 신뢰성 향상 등으로 인터넷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킹의 장점은 거의 없지만, 이를 통해 시스템의 취약점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② 단점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비용을 들이면 들일수록 보안사고로 인한 잠재적 피해액수는 줄어들지만, 일정 수준이 지나면 잠재적 피해액 보다 보안을 위한 비용이 더욱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안 기술이 완벽하지 않아 해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킹 기술이 악용되어 정보를 탈취해서 개인 정보의 침해와 금전적 손실이나 시스템을 파괴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사회적 영향과 향후 전망
해킹이 발생하면 개인정보 유출, 시스템 마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인터넷 보안이 강화되면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안전성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보안 기술과 해킹 기술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래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코로나19 지속, 디지털 전환 가속화 속에 날로 지능화 고도화되는 사이버위협으로부터 선제적인 예방과 대비태세 강화를 위해 2021년 한 해 사이버위협 분석과 2022년 사이버위협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올초 발간한 ‘2030 미래사회 변화 및 ICT 8대 유망기술의 사이버 위협 전망’ 보고서에서 인공지능 (AI), 사물인터넷 (IoT), 클라우드, 차세대 네트워크, 빅데이터, 블록체인,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등 8대 유망 정보통신기술 (ICT)의 보안 위협 증가를 예상했습니다. 이에 대규모 과학클러스터인 대덕연구단지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과학발전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선진한국의 초석을 다질 것입니다.

7. 개선을 위한 대응과 대처 방법
인터넷 보안과 해킹의 개선을 위한 대응과 대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보안 기술 강화
보안 기술을 강화하여 해킹을 예방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해킹 기술에 대응해야 합니다.
② 해킹 기술 차단
해킹 기술을 차단하여 시스템의 취약점을 보호하고 해킹 기술을 분석하여 보안 기술을 개선하는 데 활용해야 합니다.

8. 활용방법과 응용분야
인터넷 보안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 분야에서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결제 정보를 보호합니다. 그 외 의료, 교육, 소프트웨어 개발, 네트워크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해킹 기술은 시스템의 취약점을 파악하고 보안 기술을 개발하는 데 활용됩니다.

9. 개선을 위한 대응과 대처방안
인터넷 보안과 해킹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웹사이트 보안사고는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파괴력이 큽니다. 또한, 정보 과다로 인해 사람들이 정보의 스트레스를 받게 만들며, 개인이 사회에 처지는 느낌을 갖게 하고, 스스로 도태되게 만듭니다.
인터넷 보안과 해킹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합니다. 이에는 접근권 차등 부여·관리, 이중인증 강화, 사이버위협정보 공유 시스템 가입·취약점 정보포털 사용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가상화를 통한 정보 유출 및 네트워크를 보호하고 직접적인 접근은 외부인에 대한 출입 절차와 폐기물 처리 절차 수립을 통한 대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


10. 2023년 현재, 인터넷보안과 해킹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는 학교, 교수, 기업, 그리고 영향력 있는 인물에 대해 경제적 관점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전 세계 ]

① 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 MIT는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연구 기관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보보안과 암호화 분야에서도 우수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 - 스탠퍼드 대학교는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연구 활동을 수행하며, 정보보안과 암호화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버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② 교수
Ronald L. Rivest - MIT교수
Dan Boneh -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찰리 밀러 교수 - 찰리 밀러는 자동차 보안 연구 선구자로 우버에서 자율주행자동차 보안을 연구 중이다.

③ 기업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MS) - 챗GPT 등 생성형 AI를 보안 침해 대응에 적용한 사례가 있습니다.
구글 - 챗GPT 등 생성형 AI를 보안 침해 대응에 적용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글루코퍼레이션 - 자사 AI 모델에 챗GPT 등 생성형 AI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④ 영향력 있는 인물
빌 게이츠
마크 주커버그
래리 페이지
스티브 잡스
민 아웅 흘라잉 위원장 - 타임지가 선정한 2023년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선정되었습니다.
Bruce Schneier - 암호학 및 보안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알려져 있으며, 보안 컨설턴트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Kevin Mitnick - 이전에는 해커로 악명 높았으나, 현재는 보안 전문가로서 활동하며, 사회공학적 해킹 및 보안에 대한 연구 및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케빈 미트닉 - 미국 출신의 유명한 해커이다. 보안 컨설턴트로 활동. 화이트 해커로 변신 후 자신의 이름을 내세운 회사인 ‘미트닉 보안 컨설팅’을 설립했고, 그간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는 ‘침투 테스트’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가 이끄는 ‘침투 테스트’ 팀은 세계 유수의 기업과 정부 기관들이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 수준을 평가하고자 할 때 앞다퉈 기용하는 그룹으로 명성을 쌓았다.

[ 국내 ]

① 학교
서울대학교 - 국내에서 정보보안과 해킹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는 대표적인 대학 중 하나입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 연구보안 교육과정을 신입생 대상으로 의무화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가정보원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중앙대학교 - 연구보안 교육과정을 이공계 대학원 필수과목으로 지정하였습니다.
ICT폴리텍대학 정보보안학과.
경복대학교 첨단융합학부 소프트웨어융합과 사이버보안전공.

② 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김용대 교수, 이동희 교수
서울대학교의 이원준 교수, 이기주 교수
고려대학교의 이희조 교수
연세대학교의 손광배 교수
아주대학교의 곽진 교수 - 국군방첩사령부 사령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③ 기업
5대 그룹 (삼성·현대자동차·LG·SK·포스코) - 대형 해킹사고가 조망되면서 정보보호투자액을 8~40%가량 대폭 늘렸습니다.
삼성전자는 보안 설루션 및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활발한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보안 기술 및 서비스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와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보안 설루션을 개발하고 제공하고 있습니다.
LG전자
카카오
네이버

④ 영향력 있는 인물
삼성전자의 이재용 부회장
SK텔레콤의 최태원 회장
LG전자의 구광모 회장
카카오의 김범수 의장

위의 학교, 교수, 기업, 영향력 있는 인물들은 인터넷 보안과 해킹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전 세계와 국내에서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의 연구와 성과가 인터넷 보안과 해킹 분야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큰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보안과 해킹 분야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위의 학교, 교수, 기업, 영향력 있는 인물들도 항상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를 연구하고 발전시켜야 합니다.
또한, 인터넷 보안과 해킹 분야는 국가 안보와 개인의 사생활 보호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가 필요합니다.

이 정보는 2023년 현재의 상황을 반영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정보는 인터넷에서 검색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공되었으므로, 최신 및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기관이나 인물에 직접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인터넷보안과 해킹은 현대 디지털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였습니다. 이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실생활에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보안 기술을 통해 인터넷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해킹 기술을 통해 시스템의 취약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안 기술이 완벽하지 않아 해킹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해킹 기술이 악용되어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을 파괴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 기술을 강화하고 해킹 기술을 차단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이해와 대응은 개인 정보의 보호와 사회적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디지털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